[컨슈머뉴스=김병조 기자] 국내 기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이후 비용 압박 등에 대응해 이전보다 더 자주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의 생필품 가격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의 가격조정(인상·인하 빈도, 할인 등 일시조정 제외) 빈도를 조사한 결과, 20182021년 월평균 11.0%에서 2022202315.6%로 상승했다.

가격조정 빈도는 해당 기간 가격조정 기회들 가운데 실제로 기업이 인상·인하를 단행한 횟수의 비율을 말한다.

이 빈도를 기간으로 환산하면, 평균 상품가격 유지 기간이 같은 기간 약 9.1개월에서 6.4개월도 단축됐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연 1.3회 정도 가격을 올렸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한해 약 두 번 올렸다는 의미다.

한번 올릴 때 인상률은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로 팬데믹 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코로나19 전후 인상 빈도의 증가율이 높은 생필품은 주로 조미료·식용유지, 축산·수산물 가공품 등 수입 원재료의 비중이 커 비용 압력을 많이 받은 품목들이었다.

아울러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수준과 기업의 가격 인상 빈도 변화 사이 관계를 분석하자 물가 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같은 비용 충격(유가·곡물가 상승 등)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동재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지금처럼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 수준(2%)을 상회하는 상황에서 향후 새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보다 더 커질 수 있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앞으로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컨슈머뉴스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