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아파트 입주율 64.6%로 2월 대비 1.3%p 상승

3월 대비 4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4.5p 올라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컨슈머뉴스=김관수 기자] 4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에서 울산의 경우 107.1로 입주 전망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이는 마지막으로 입주전망지수가 100을 초과한 시기인 작년 5월에 이어 11개월 만이다. 반면에 충북은 81.8로 18.2p 하락했다. 이는 지난달의 급격한 지수 상승(2월 대비 3월 38.5p 상승)에 대한 조정을 받아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3월 전국 입주율은 64.6%로, 2월 대비 1.3%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4월 13일 밝혔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77.1%에서 73.6%로 3.5%p 하락하였으며, 5대 광역시는 60.6%에서 61.0%로 0.4%p, 기타지역은 60.1%에서 63.9%로 3.8%p 상승했다. 수도권인 서울(79.7→76.2), 인천·경기권(75.8→72.3)은 입주율이 하락하였으나, 비수도권 중 대구·부산·경상권(62.7→60.1)의 하락을 제외하고 강원권(52.0→60.0), 대전·충청권(59.7→64.0), 광주·전라권(59.3→64.2) 입주율이 모두 상승하였다. 수도권 입주율은 2021년 12월(92.4%)을 기점으로 점진적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월,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 영향으로 입주율을 소폭 회복하였으나, 다시 하락하여 2017년 4월 이후 최저 수치(73.6%)를 기록했다. 지방은 입주율을 소폭 회복하였으나, 여전히 60%대의 매우 낮은 입주율을 보이며 침체된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각지연 45.5%, 세입자 미확보 29.1%, 잔금대출 미확보 12.7%, 기타 10.9%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수치가 전월과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세입자 미확보가 4.2%p (33.3%→29.1) 하락하였다. 미입주 원인 중 세입자 미확보가 줄어든 이유로는 3월 2일부터 시행되는 전세퇴거자금대출의 규제 일괄 폐지로 인한 소규모 임대사업자들의 유동성 증가, 시중은행(특히 인터넷은행)들의 전월세대출 금리인하 및 신규 전월세대출상품 출시로 전세자금 조달이 원활해져 세입자 확보가 수월해진 것으로 보인다.

(자료=주택산업연)
(자료=주택산업연)

 

3월 대비 4월 중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4.5p(80.2→84.7)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8.1p(71.0→79.1), 광역시는 13.9p(75.4→89.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도 지역은 4.0p(87.3→83.3) 하락할 것으로 조사됐다. 4월 입주전망지수는 도 지역 4.0p 하락을 제외하면 모든 지역에서 상승했다. 이는 주택법 시행령 통과로 인한 전매제한 기간 완화, 부동산 규제 완화와 더불어 특례보금자리론,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대출 규제 완화 등의 대출 상품을 통해 자금조달이 수월해진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주택시장 연착륙 대책과 봄 이사철 기대심리 영향으로 부산(73.9→100), 울산(82.3→107.1), 세종(75.0→92.3), 대구(59.2→72.0), 경남(72.2→86.6) 5개 시· 도에서 입주전망이 10p 이상 개선됐다. 특히 울산의 경우 입주전망지수가 107.1로 입주 전망이 긍정적으로 평가됐으며, 마지막으로 입주전망지수가 100을 초과한 시기는 작년 5월이다. 반면에 충북은 81.8로 18.2p 하락했다. 이는 지난달의 급격한 지수 상승(2월 대비 3월 38.5p 상승)에 대한 조정을 받아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입주율이 현재 침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입주전망지수는 5개월 간 모두 38.4p(22년 11월 46.3 → 올 3월 84.7), 연속적으로 상승했다. 이런 지표는 실질적인 입주율 하락추세에도 규제완화와 금리하락, 거래량 증가 등으로 주택사업자들의 시장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입주율 또한 선행지표인 입주전망지수와 마찬가지로 시간차를 두고 점진적으로 회복할 가능성이 있지만, 여전히 침체 국면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다.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컨슈머뉴스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