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S캡처)

[컨슈머뉴스=조창용 기자] 전북지역에서 건설 노동자들의 추락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비단 전북지역만이 아닌 전국 건설사 현장의 추락사고도 문제다.

추락사고는 건설업 산재 사망사고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사고가 되풀이되는 이유는 따로 있었다.

23일 KBS에 따르면, 끊어져 버린 안전줄. 이 줄을 몸에 걸고 크레인 해체작업을 하다 20미터 아래로 떨어져 숨진 노동자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다.

얼마 전 다른 현장에서는 지붕 보수작업 중에 추락한 노동자가 유명을 달리했다.

지난 20년 동안 전국의 건설현장에서 떨어짐으로 세상을 떠난 노동자는 5천7백10명.

해마다 건설업 사고 사망자의 50~60%를 차지하고 있다.

건설업 산재 사망사고 원인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이다.

현장에서는 추락 사고가 끊이지 않는 이유로, 다단계 하도급 구조를 꼽는다.

도급에 재도급이 이뤄지면서 안전과 관련된 비용이 줄어들어 관리 감독을 형식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한 건설업 노동자는 "안전팀이 겸직으로 한두 명이 있기는 있는데 '안전고리를 걸든 안 걸든 일단 안전벨트는 매라'는 거죠. 고리를 걸어야 효과가 있는 건데. 보여주기식이 상당히 많다고 봐야겠죠."라고 폭로했다.

특히 소규모 현장일수록 안전장비를 지급하지 않는 등 사고 위험이 크다고 말한다.

실제로 지난해 건설업 추락사고 사망자의 70%가량이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인 현장에서 발생했다.

여전히 안전보다 비용을 우선하는 곳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손진우 노동안전보건연구원 상임 활동가는 "공사 기간을 늘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것(추락방지시설) 자체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관행들이 있고 실제로 그렇게 일하더라도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이 사회가 방관하고 있기 때문에…."라고 현실을 진단했다.

노동계는 위험한 작업만큼은 다단계 하도급을 하지 못 하도록 하고, 안전조치가 안 돼 있을 때에는 노동자가 작업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컨슈머뉴스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