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뉴스=김관수 기자] 대학들이 정부와 교육계의 예상치를 뛰어넘은 3,401명의 의과대학 정원을 늘려달라고 신청했다.

이처럼 예상을 뛰어넘는 증원 신청 배경에는 27년간 묶여 있던 의대 정원을 이번 기회에 증원해야 대학의 위상과 지역 의료수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추가 신청'이나 '신청 기한 연장'은 없고, 신청서를 내지 않은 대학에 임의로 증원해주는 일도 없을 것이라는 정부의 강경한 입장 역시 현 정원을 뛰어넘는 신청이 몰린 이유로 풀이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2,500명대 중반, 많아야 2,800명대 정도를 생각(예상)했었다"라며 "이렇게 많이 들어올 줄은 (교육부 입장에서도) 몰랐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박성민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신청 마감 전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대학들의 신청 전망에 대해 "작년 수요조사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수요조사 당시 40개 대학은 최소 2,151, 최대 2,847명을 증원해달라고 신청한 바 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이들 대학이 적어 낸 증원 규모는 초기 수요조사 최대치보다 20%가량 많은 수준이었다. 심지어는 이들 40개 대학의 현 의과대학 정원(3,058)까지 넘어선다.

의과대학 교수진이 거세게 반발하는 와중에도 대학들이 이처럼 대규모의 증원 신청을 한 것은 대학의 위상과 지역의 의료수요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

최근 '의대 쏠림' 현상이 심화하기 이전부터 의대를 설치·운영한다는 점은 대학에 명예와 위상에 공공연하게 영향을 미쳐 왔다.

'지방대 위기론'이 팽배한 상황에서 비수도권 대학에서 의대 운영이 미치는 영향을 특히 크다.

대학 소재지나 수련병원의 규모·위치 등과 함께 의과대학의 입학정원 역시 대학의 위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꼽히는데 비수도권 대학 입장에서는 의대 정원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실보다 득이 크다고 판단한 셈이다.

실제로 이번 신청에 비수도권 27개 대학은 2,471명을 늘려달라고 요청해 비수도권 신청 규모가 전체의 72%에 달한다. 서울 소재 8개 대학이 365명을 늘려달라고 한 것과 대조된다.

지난해 수요조사에서 대학들이 써낸 최소치(2,151)'현재 교육역량'만으로 증원할 수 있는 규모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신청 규모는 재정 여건이 어렵지만 의대에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대학들의 의지와도 맞물려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요즘 지방대학들이 힘든 점이 많은데 충원율 확보에 전혀 문제가 없고 학교의 위상에도 큰 도움이 되는 학과를 이렇게 늘릴 기회가 자주 오지 않는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컨슈머뉴스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