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지 기자

[컨슈머뉴스=김현지 기자] 지난 23일 구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일부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중단되는 오류가 발생했다. 해당 오류는 새벽 6시 반쯤부터 '필수 어플'인 카카오톡과 네이버, 일부 증권 앱에서 보였으며 앱을 실행할 때 '앱을 중지했습니다'라는 알림창이 뜨면서 앱 작동이 멈췄다. 해당 문제에 대해 구글은 오후 3시 반쯤 해결책을 내놓았다. 구글의 답변이 나오기 전, 해결방법이 전혀 없던 것은 아니었다. 일부 사용자들은 구글 '웹뷰' 앱을 삭제하거나 구글의 웹 브라우저 '크롬'을 제거하는 등의 임시방편으로 큰불을 껐다.

스마트폰 이용자 대부분이 스스로 문제 해결에 성공했지만, 여러 스마트폰 서비스센터에는 많은 고객이 방문해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들 대부분은 중장년~ 노년층 고객이었다. 어려운 용어로 가득한 해결방안을 이해하지 못한 채 핸드폰이 고장 난 줄 알고 수리를 위해 방문한 사람들이었다. 특별한 문제가 있던 것은 아니었기에 서비스센터 직원들은 고객들의 핸드폰에서 간단한 삭제를 불편함을 해결해줬다.

이번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디지털 정보 소외 격차가 심해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19년 디지털 정보 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4대 정보취약계층은 고령층,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민이다. 디지털 활용 역량, 정보기기 보유 여부, 디지털 접근 수준 등을 고려해 선정됐으며 이들 중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64.3%로 가장 낮았다.

디지털 소외 현상은 일상 생활 속에서도 쉽게 일어난다. 대표적인 예가 '키오스크'다. 패스트푸드점을 넘어 마트, 식당 등 여러 가게를 점령한 키오스크 앞에 노인은 설 수 없다. 빠르게 넘어가는 화면을 읽기도 전에 작동 방법조차 모르기 때문이다. 이의 결과로 버스 티켓을 끊지 못헤 터미널에 남게 되거나, 패스트푸드점에서 햄버거를 사달라고 보채는 어린 손자를 달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다수의 고객이 편리함을 느끼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객 모두가 제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우선돼야 한다. 모두가 편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제도적 차원의 변화가 필요할 때다.

 

컨슈머뉴스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