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코로나 지원 종료시 기업파산 속출 가능성"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 (사진=기재부)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 (사진=기재부)

이창용, 코로나 1년 맞아 IMF블로그 글 게재
"亞경제 자금조달·성장산업 투자 강화해야"

[컨슈머뉴스=김지훈 기자]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이 올해 신흥국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로 민간부채를 지목했다. 각국 정부의 지원이 종료될 경우에는 외국자본이 유출되고 기업 파산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전하면서 효과적인 자금조달, 성장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 등에 신흥국 정부가 매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창용 국장은 지난 17일 IMF블로그에 '아시아의 미래: 앞으로 1년간 나타날 수 있는 변화'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리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국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1년을 맞은 시점에서 아시아지역이 그 충격에서 완전히 회복할 수 있을지를 두고 "아직 확답하기엔 이르다"고 했다. 그러면서 "생산성 증가폭 둔화와 부채 증가, 인구 고령화, 불평등 문제 악화, 기후 변화 관리 등 기존의 장기적인 문제들을 악화시켰다"고 덧붙였다.

신흥국 경제의 가장 주된 문제로 '민간부채(private debt)'를 지목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사상 민간부채는 사상 최대 수준으로 불어난 가운데 많은 기업들은 부채를 갚을 만큼 충분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국장은 만약 정부의 지원이 종료될 경우 아시아지역에서는 심각한 경제적 여파가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정부 지원이 종료되고 특별한 개입이 없을 때 기업 파산이 파도처럼 일 수 있다"며 "아시아지역에서는 이러한 취약성이 더욱 심각할 수 있는데, 코로나19 회복과정에서 글로벌 금융시장 긴축으로 자본유출과 기업에 대한 추가적인 압박이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이 국장은 민간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금조달의 유효성을 강화하고 성장 산업에 대한 자본 투입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간부채 문제를 위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미다.

더불어 코로나19 이후 큰 폭의 금리인하를 비롯한 파격적인 통화정책에 의존했던 개발도상국에 대해서는 그 부작용에 대해 우려하기도 했다. 이 국장은 "각국 정부 관계자들은 완화적 통화정책과 금융규제 완화 등 파격적 조치에 뒤따를 왜곡을 최소화하고 출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외에 경제적 상흔이 장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생산성 향상과 투자, 산업간 자원 재배분 등도 언급했다. 여기에는 적절한 수준의 고용보장금과 직업 재교육, 규제·세금부담 감소 등도 포함된다.

이 국장은 코로나19가 아시아에 더 나은 미래를 열 기회도 일부 제공했다고 진단했다. 일시적이나마 일자리가 항공, 운송 등 에너지 집약적 사업에서 더 생산적이고 깨끗한 부분으로 옮겨 갔다는 것이다.

그는 "아시아지역은 더 지속적이고, 친환경적이며 보다 평등한 방법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민첩하고 혁신적이어야 한다"며 "아태지역이 이산화탄소 배출, 오염 등에 노출돼 있는 만큼 탄소세 패키지와 관련 시장 정책으로 자본, 노동 재분배를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컨슈머뉴스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