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1인 국민 총소득(GNI) 그래프 (뉴시스 그래픽)
▲북한의 1인 국민 총소득(GNI) 그래프 (뉴시스 그래픽)

[컨슈머뉴스=오영주 기자]지난해 북한 경제성장률(GDP)가 지난해 대비 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7년 일명 '고난의 행군'시절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내려앉은 것이다.

이러한 경제성장률은 유엔의 대북 경제제재가 지속된 영향으로 보인다. 북한 경제는 김일성 사망(1994년) 이후 대기근, 경제여건 악화 등 요인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악화했다.

그러다가 지난 2011년부터 4년간 1%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하더니 2016년 중국과의 교역으로 성장률이 3.9%까지 오름세를 보였다. 하지만 유엔 등 국제사회가 북한에게 강한 경제압박을 넣어 다시 마이너스 성장대로 회귀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8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는 전년에 비해 4.1% 감소했다.

한은은 북한 경제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농림어업은 –1.3%에서 –1.8%로 역성장 비율이 커졌고, 광업 역시 –11.0%에서 –17.8%로 확대됐다.

한국은행은 “곡물 생산이 폭염 등의 영향으로 줄어든 가운데 광물 생산이 석탄, 금속, 비금속 모두 크게 감소한 데다 제조업 생산도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부진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142만8000원으로 한국(3678만7000원)의 3.9%에 불과했다.

대외교역 규모는 28억4000만달러로 전년(55억5000만달러)에 비해 48.8% 급감했다. 이는 남북교역을 제외한 수출입금액을 모두 더한 값이다. 특히 수출이 2억4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86.3%나 줄었다. 이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지난해 남북간 반출입 규모는 3130만달러였으며, 주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시설개보수 관련 기자재 반출입 등의 비상업적 거래가 전부였다.

한은은 1991년부터 매년 코트라 등 관계기관으로부터 기초 자료를 제공받아 북한 경제성장률을 추정하고 있다. 다만 한은이 발표하는 지표는 우리나라의 가격과 부가가치율 등을 적용해 추정한 것으로 실제 지표와 국가간 비교대상으로 삼기에는 차이가 있다고 당부했다.

컨슈머뉴스는 국제 의료 NGO ‘한국머시쉽‘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